부동산 거래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하는 정보가 바로 실거래가입니다. 단순한 호가나 중개 시세보다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은 실제 신고된 거래 금액을 보여주기 때문에 가장 신뢰할 수 있는 기준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거래가 조회 꿀팁 3가지를 정리해 드릴게요.
①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바로가기
가장 정확한 데이터는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공식 사이트:
https://rtms.molit.go.kr/
이 사이트에서는 전국 아파트, 오피스텔, 연립주택, 단독주택, 토지의 실제 거래 금액이 공개됩니다. 특히 최근 1~2개월 내 신고된 거래는 시장 분위기를 가장 정확히 반영하므로, 매매 전 필수 확인이 필요합니다.
| 조회 항목 | 설명 |
|---|---|
| 아파트/오피스텔 | 층수·면적별 거래가 확인 가능 |
| 단독/다가구 | 대지면적, 건물면적 기준 거래가 |
| 토지 | 지목·면적별 실거래가 확인 |
② 네이버 지도 + 실거래가 병행 조회
단순한 숫자만 보는 것보다 지도 기반 비교가 훨씬 직관적입니다.
네이버 부동산 지도 에 접속해
‘실거래가 보기’를 활성화하면 아파트 단지별 거래가를 바로 시각적으로 비교할 수 있습니다.
특히 같은 단지라도 층수·면적·거래일자에 따라 가격이 다르기 때문에 ‘호가’와 ‘실거래가’를 반드시 구분해서 보는 습관이 중요합니다. 이 방법을 통해 투자자나 실수요자 모두 합리적인 가격 판단이 가능합니다.
③ 아파트 실거래가 알림 서비스 활용
매번 직접 검색하기 번거롭다면, 실거래가 알림 서비스를 이용해 보세요. 예를 들어 네이버 부동산 또는 직방 앱에서는 관심 단지를 등록하면 실거래 신고가 업데이트될 때마다 푸시 알림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투자 시점 판단에 유용하며, 단기 급등 단지나 조용히 거래되는 지역을 파악할 때 큰 도움이 됩니다.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은 언제 업데이트되나요?
👉 매월 15일경 전월 거래내역이 갱신됩니다.
Q2. 신고가와 실거래가는 같은 건가요?
👉 신고가는 거래 직후 임시로 입력된 금액이며, 검증 후 확정된 금액이 ‘실거래가’입니다.
Q3. 과거 5년치 거래내역도 볼 수 있나요?
👉 네. 국토부 사이트에서 기간 설정으로 2006년 이후 모든 거래를 조회할 수 있습니다.
📌 요약 정리
- ① 국토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으로 정확한 데이터 확인
- ② 지도 기반 실거래가 비교로 지역별 시세 한눈에
- ③ 알림 서비스로 자동 업데이트 수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