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웨이스트 화장실 만들기 – 플라스틱 없는 욕실을 위한 2025년 실천 가이드

제로웨이스트는 이제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특히,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공간인 욕실(화장실)은 생각보다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를 만들어내는 장소입니다. 칫솔, 샴푸, 면도기, 물티슈 등 대부분의 욕실 용품이 일회용 혹은 플라스틱 제품이기 때문이죠.

이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제로웨이스트 욕실을 만드는 실천법과 함께, 플라스틱 없는 화장실을 위한 추천 아이템을 소개합니다. 작은 변화가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지금부터 시작해보세요.


✅ 1. 플라스틱 칫솔 대신 대나무 칫솔

전 세계에서 매년 수십억 개의 플라스틱 칫솔이 버려집니다. 대나무 칫솔은 생분해가 가능

실천 팁: 사용 후 손잡이는 일반 쓰레기, 칫솔모는 따로 분리해 버리세요.


✅ 2. 액상 샴푸 대신 고체 샴푸바

샴푸와 바디워시 용기의 대부분은 플라스틱입니다. 샴푸바는 용기가 없고, 내용물 100%를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기도 합니다.

실천 팁: 샴푸바 받침대는 통풍이 잘 되는 재질로 사용하세요.


✅ 3. 일회용 면도기 대신 교체형 안전 면도기

일회용 면도기는 오래가지 않고, 폐기 시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스테인리스 안전 면도기는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날만 교체하면 됩니다.

실천 팁: 초보자는 1날보다는 2~3날 안전 면도기를 사용하는 것이 편리합니다.


✅ 4. 플라스틱 물티슈 대신 면 타월 또는 천 기저귀

물티슈는 분해되지 않는 섬유 + 플라스틱이 혼합된 제품이 대부분입니다. 부드러운 면 타월이나 손수건을 사용하면 환경에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실천 팁: 여러 장을 준비해 번갈아 사용하고, 소독 후 재사용하세요.


✅ 5. 디스펜서 용기 재사용 + 리필 스테이션 이용

샴푸, 린스, 바디워시 등은 리필 가능한 디스펜서 병을 사용하고, 제로웨이스트 숍이나 리필 스테이션에서 내용물만 채우는 방식으로 사용하세요.

실천 팁: 내용물을 리필할 땐 유리나 금속 디스펜서가 더 오래갑니다.


✅ 6. 휴지 대신 재생지 or 비데 사용

휴지는 제조 과정에서 많은 물과 자원이 소비됩니다. 재생지를 사용하거나, 비데 사용으로 종이 사용 자체를 줄이는 것이 훨씬 지속가능합니다.

실천 팁: 종이를 아예 없애는 것이 어려우면 재생지 제품으로 전환하세요.


✅ 7. 플라스틱 청소용품 대신 천연소재 솔·베이킹소다 활용

욕실 청소 도구도 제로웨이스트가 가능합니다. 코코넛 솔, 천연 스펀지, 베이킹소다, 식초 등은 환경에도 몸에도 안전한 대안입니다.

실천 팁: 플라스틱 세제 대신 천연 세제로 전환해보세요. 효과도 우수합니다.


🌿 제로웨이스트 욕실 실천 체크리스트

  • ✅ 대나무 칫솔 사용
  • ✅ 샴푸바 사용
  • ✅ 면도기 교체형 사용
  • ✅ 물티슈 대신 면 타월
  • ✅ 리필 스테이션 활용
  • ✅ 비데 + 재생 휴지 사용
  • ✅ 천연 청소용품 활용

마무리

욕실은 작지만 매일 사용하는 공간이기에, 제로웨이스트 실천의 시작점으로 이상적입니다.

한 번에 모든 걸 바꿀 필요는 없습니다. 지금 갖고 있는 제품을 다 쓰고 나서, 하나씩 바꿔가는 것으로도 충분합니다.

2025년, 지속가능한 삶을 위한 당신의 선택, 바로 욕실에서부터 시작해보세요.

다음 글에서는 ‘주방 제로웨이스트 실천법’과 ‘제로웨이스트 장보기 전략’을 다룰 예정입니다.

댓글 쓰기

다음 이전